본문 바로가기

소아강박증

(2)
#2. "초등학생 강박증"의 치료 지난 포스팅에 이어 소아 강박증에 대한 치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치료법에는 아래 3가지의 방법이 병행되어 사용됩니다. 1. 약물 치료 2. 인지 치료 3. 행동 치료 이 중 2, 3번을 인지행동치료(CB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는 사람의 감정과 생각 그리고 행동이 연결되어 있고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는 심리치료기법입니다. 강박증이 있는 아이들은 자주 큰 불안감을 느끼기가 쉽습니다. 아이에게 불안해하지 말라고 말하는 것은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불안감은 현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더 나빠질 수도 있음에 주목해야 합니다. 감정은 우리의 몸과 마음이 느끼는 것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또 우리의 감정은 시시때때로 바뀝니다. 그래서 모든 사람은 자..
#1. 무시할 수 없는 "초등학생 강박증" 저는 12살 초등학생 여자아이의 아빠입니다. 언제부터인지 딸은 일상에서 자신도 모를 모호한 불안함을 느끼며 일상생활 단순한 질문과 뻔한 답변을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행동을 보였습니다. 그에 대한 반응으로 아내와 저는 불안해하지 말라는 상투적인 답변으로 일관했고 힘든 하루였던 날에는 그런 딸의 모습에 짜증과 윽박적인 반응들을 보였으며 이러한 잘못된 대응으로 딸의 강박적인 행동은 점점 심해져오늘까지 왔던 것 같습니다. 며칠 전, 둘째인 아들과 사소한 문제로 다투는 딸에게 양보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줬는데 조금 후 자신의 손톱을 계속 뜯어내 벌어진 피부 사이로 피가 보여 딸아이를 치료하며 이야기를 나누다 자신이 불안해지면 자신도 모르게 손톱을 뜯고, 뜯는 시간동안 마음이 평안해진다는 소리를 듣고 소아강박증, 어린..